What’s New
-
2023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Annual Forum 참석
2023.11.14문준혁 교수님이 2023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Annual Forum (11/14)에 참석하셨습니다. 교수님은 'Janus architecture electrode for high energy density lithium sulfur batteries'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
박준수, 이민경 석사 과정 취업 소식
2023.07.24우리 연구실 박준수, 이민경 석사과정이 LG에너지솔루션으로 입사 결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
2023 한국전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
2023.07.032023. 06. 28 ~ 06. 29 엄경식, 오경현, 염세기 석사과정 연구원은 6월 28일 ~ 29일에 진행된 2023년도 한국전지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석하였습니다. -
2023 NAM28(North American Catalsis Society Meeting) 참석 및 포스터 발표
2023.07.03문준혁 교수님과 민희원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이 2023 NAM28 meeting (6/18~6/23)에 참석하였습니다. 민희원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이 'NiO/ZnO heterojunction nanorod catalyst for methane to ethanol conversion'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연구실 전기화학 촉매 반응기,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전시
2023.05.25우리 연구실의 전기화학 촉매 반응기를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전시하였습니다. http://www.wce.or.kr/2023/main/index_kor.asp -
제19회 한일촉매 심포지엄 참석
2023.05.25김철호 박사가 5월 15일 ~ 17일에 진행된 제19회 한일촉매 심포지엄에 참석해서 "Metal oxide-based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partial oxidation of methane"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2023 MRS Meeting 참석 및 발표
2023.04.14문준혁 교수님이 2023 MRS Spring meeting (4/10 - 4/14)에서 우리 연구실의 리튬-황 전지 연구 주제로 구두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
2023 한국전기화학회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참석
2023.04.122023. 04. 05 ~ 04. 07 우리 연구실 전원이 4월 5일 ~ 7일에 진행된 2023년도 한국전기화학회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에 참석하였습니다. 본 학술발표회에서 김준민 석사과정 연구원은 "Nanorod-based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
2023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 참석
2023.04.122023.04.05 이해리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 백승준 석사과정 연구원이 2023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 방문하였습니다. 이해리 석박사 통합과정 연구원이 'A Novel Method to Create Porous Structures in Polymer Carbonization'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
김철호 박사, 2023년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2023.04.11김철호 박사가 2023년 한국고분자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Research Spotlights
-
삼성미래기술육성과제 2단계 진입
2023.08.17우리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과제에서 1단계를 통과하고 2단계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2단계 과제에서는 차세대 리튬전지에 대한 주제로 고성능을 구현하는 새로운 개념의 양극/음극을 연구합니다. -
3차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대해 알아보아요!
2023.08.16반도체 공정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이란 무엇인지, 3차원 포토리소그래피는 어떤 기술인지 그리고 우리 연구실에서 어떻게 이 기술을 활용하는지 소개해 드립니다. -
LG에너지솔루션 타겟랩 (Target Lab) 선정
2023.08.16우리 연구실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분야 타겟랩 (Target Lab)으로 선정되었습니다. -
[언론보도] 리튬 배터리 전극용 메조다공성 탄소소재 합성 기술 개발 (김철호, 김재현, 이다영, 백승준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 김철호, 김재현, 이다영, 백승준 연구원의 리튬 배터리 전극용 메조다공성 탄소소재 합성 기술에 관한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베리타스알파=정우식 기자] 서강대는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 연구팀이 메조다공성 탄소 소재를 합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저명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IF: 12.779, JCR 상위 7.41%)'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3일 밝혔다. 메조다공성 탄소는 기공도가 높아서 흡착제, 촉매지지제, 에너지 저장소자의 전극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합성하는 기존 방식에서는 상당한 양의 용매와 분자틀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었 -
[언론보도] 고성능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탄소 소재 합성 (김철호, 설지원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 김철호, 설지원 연구원의 고성능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탄소 소재 합성에 관환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베리타스알파=박원석 기자] 서강대는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탄소 소재를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연구성과는 18일 에너지 분야의 저명한 국제 전문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Energy Storage Materials, IF: 20.831, JCR 상위 4.35%)'에 게재됐다. 반도체 공정은 정밀한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여러 과정으로 대표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 산화, 증착 등이 있다. 문준혁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을 활용하여 에너지 저장 소자에 전극으로 활용되는 다 -
[언론보도] 리튬-황 전지 방전 특성 연구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 김재현 석사과정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 김기원 박사과정 연구원과 김재현 석사과정 연구원의 양극 흡착능에 따른 Li2S 성장 제어에 관한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한국경제=김봉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 배터리로 많이 활용되는 리튬이온전지 대비 60%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리튬-황 전지’의 양극 소재를 찾아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나온 결과라 주목된다. 서강대는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리튬-황 전지를 위한 고성능 ‘코발트 이원계산화물’ 양극 소재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리튬-황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2~3배 높은 에너지 밀도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 -
[언론보도] 헤테로 접합 나노로드 전기화학 촉매 개발 (김철호, 민희원, 김준민, 설지원, 양지우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의 김철호, 민희원, 설지원, 양지우 연구원의 NiO/ZnO 헤테로 접합 나노로드 촉매에 관한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중앙일보=서명수 기자]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 연구팀은 상온에서도 고효율로 메탄을 알코올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이자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로, 메탄을 유용물질로 화학적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그 파급효과가 크다. 그러나 매우 안정한 물질인 메탄은 기존에는 고온에서 산화촉매를 이용해야 처리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상온에서 메탄을 알코올로 전환했으며, 특히 ‘나노막대’와 ‘이종구조’를 활용했다. 나노막대의 일방향 형태상의 특징과 이종구조에 의 -
David Pine (New York Univ.) 교수님 연구실 방문
2023.08.16NYU 화공생명공학과에 계신 Pine 교수님께서 우리 연구실을 방문하셨습니다. 탄소 콜로이드에 대한 우리 연구실 최신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다양한 조언을 들었습니다. 교수님과 을밀대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광장시장에 방문했습니다. -
[언론보도] 높은 방전 용량의 리튬-황 전지 양극 기재 개발 (권동휘, 윤지수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 권동휘, 윤지수 연구원의 무정형 titanium suboxide를 이용한 리튬 폴리설파이드 제어에 관한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베리타스알파=신승희 기자]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문준혁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리튬 전지를 위한 무정형 산화티탄 (amorphous TiO) 촉매 전극을 개발했다고 8일 전했다. 해당 연구성과는 지난 6월 6일 저명한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Advanced Science, IF: 16.806, JCR 상위 6.09%)'에 게재됐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문준혁 교수(교신저자)와 권동휘 박사(제1저자, 현 리하이대 post-doc)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차세대 -
[언론보도] 전기화학적 메탄 산화를 위한 촉매 개발 (이재현 박사과정 연구원, 양지우 석사과정 연구원)
2023.08.16우리 연구실 이재현, 양지우 연구원의 CuO/CeO2 전기화학 촉매를 이용한 메탄 산화 연구가 언론에 보도되었습니다. 아래는 보도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연구진이 햇빛을 이용해 메탄을 화학원료 등으로 널리 쓰이는 물질인 메탄올로 바꾸는 공정을 개발했다. 메탄은 천연가스와 셰일가스의 주성분이지만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기체인데 이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로 전환할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연구팀은 산소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유리한 구리산화물과 세륨산화물이 혼합된 전이금속 산화물을 촉매로 이용했다. 이후 산화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촉매에 전기를 걸어 상온에서 메탄의 전환반응을 유도했다. 그 결과, 상온에서 기존 화학촉매의 전환율을 넘는 메탄·메탄올 전환율과 80%가 넘는 메탄올 선택
Life
-
Samsung Global Technology Symposium 참석
2023.10.11연구실 배터리 팀원들은 지난 8월11일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에서 개최한 Samsung Global Technology Symposium 참석하였습니다. -
Zhiqun Li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교수님 초청
2023.06.05교수님께서 Zhiqun Li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교수님을 초청하셨습니다. 특별 세미나와 공동연구 논의를 했습니다. 사진: 문준혁 교수님, 강문성 교수님, 김정욱 교수님, Zhiqun Lin 교수님, 박제영 교수님 -
2023년 스승의날
2023.05.25스승의날을 맞아 교수님께 특별한 선물을 준비하였습니다. 항상 학생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2023년 봄 연구실 제주도 MT
2023.04.12봄을 맞아 연구실 MT를 제주도에서 진행하였습니다. 모두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
교수님의 생신을 축하드립니다.
2023.03.083월 9일 교수님의 생신을 맞이해서 가벼운 축하 파티를 가졌습니다. 교수님의 생신을 축하드립니다! -
5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2.05.122022년 5월 12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방문
2021.05.17교수님과 함께 부산엑스더스카이 (해운대 엘시티 전망대)에 방문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
3월 연구실 단체사진
2021.03.262021년 3월 25일 연구실 단체 사진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
논문작성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아요!
2021.03.15평소 궁금했던 논문작성과정, 선배들로부터 직접 들어보아요! -
우수취업자 졸업생 인터뷰
2020.09.21우수취업자 졸업생인 SK이노베이션 황정태, 한화케미칼 정민재,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남성경 졸업생의 인터뷰입니다.